날짜를 헤아리는 방법에는 여러가지 있다.
음력, 그레고리력(흔히 양력), 율리우스력, 이슬람력 등이다.
이 중에서 우리가 흔히 접하는 양력과 음력, 그리고 24절기에 대하여 살펴본다.
양력은 지구와 태양과의 관계에서 반복되는 주기성을 찾아 일정한 시간으로 정한 것이며, 순수음력은 지구와 달과의 관계에서 반복되는 주기성을 찾아 일정한 시간으로 정하여 만든 것인데 이렇게 하면 양력의 1년은 음력의 일년보다 약 11일 정도가 많게 된다.
이것을 보정해 주지 않으면 음력을 쓰는 경우에 봄에 태어난 사람이 10여년이 지난 후에는 여름에 생일을 맞게 되는 문제가 생긴다.
계절은 태양의 영향으로 바뀌게 되므로 양력에 의하면 같은 날짜는 같은 계절감각을 갖게 된다.
따라서 이를 보정하기 위하여 순수음력에는 19년에 7번 정도의 윤달을 끼워넣어 대체로 특별한 일이 없는 한 19년마다 양력과 순수음력이 일치하도록 했다(19*11=209일, 7*30=210일).
이 글을 읽는 분께서도 만세력을 펴놓고 19년 마다 확인해 보면 음력과 양력의 양쪽이 대체로 서로 같은 날짜임을 쉽게 살필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순수음력을 태음태양력으로 보정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우리는 흔히 이것을 그냥 음력이라 한다.
즉 우리가 말하는 음력은 정확하게 말하면 태양의 주기성에 맞춘 보정된 태음태양력이 된다.
이렇게 보정된 음력(이하 음력)을 쓰는 곳에서 계절을 헤아리는 획기적인 방법을 생각하게 된다.
지구가 태양을 한바퀴 도는 시간이 곧 1년인데 거의 360일 정도(좀더 정확하게는 365일 정도)이며 사계절의 반복됨이다. 따라서 360을 24로 나누어 약15일마다 절기로 나누어 24절기가 된다.
여기에 두절기씩을 묶으면 대략 30일이 되고 각각의 30일에 12지지를 대입하면 12지지월이 된다. 일년은 12달이 된다.
이 24절기는 지구가 황도상의 어느 지점에 위치하는가를 기준하여 태양에 맞춘 시간적 변화이니 계절과 정확히 일치하게 되어 농사 등의 일에 활용된다.
즉 24절기는 역법 자체는 음력 즉 태음태양력이 기준이 되고 태양의 움직임을 반영하는 것이니 양력의 성격을 띄는 구분법인 셈이다.
음력을 쓰는 곳에서는 날짜는 달을 보고 알고 농사는 정해진 절기에 따르면 된다.
또한 바닷가에서는 달을 보고 밀물과 썰물의 시간을 알수 있으니 음력이 필요하게 된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음력만을 쓰다가 양력으로 1896년 1월 1일(음력1895년 11월 17일)부터 양력을 쓰기 시작하였다.
그 이전에는 음력을 썼으니 그 이전의 모든 역사적 사실은 음력이기 쉽다. 간혹 음력을 양력으로 환산하여 표시한 날짜도 있지만 음력 혹은 양력을 구분하여 표시하는 것이 맞다.
이런 음.양력의 구분이 없으면 양력1896년 1월 1일 이전이라면 음력으로, 그 이후라면 양력으로 보아야 하겠지만 어느 정도 정착되는 기간을 고려한다면 한동안은 혼란이 불가피하다.
따라서 역사적 사실을 말할 때에 이와같은 사실을 간과할 수 없으며 특히 명리학을 연구하는 과정에서도 대단히 중요하다.
명리학은 시간과의 싸움이기 때문이다.
간혹 가다가 생년월일을 말하는데 양력으로 말하면 안되고 음력으로만 말해야 하는 것으로 잘못 알고 있는 사람들이 있다. 날짜를 음력인지 양력인지만 구분하여 틀리지 않고 정확하게만 말해주면 자료는 같게 되니 염려할 일이 아니다.
오늘은 양력으로 2011년 3월 25일이라고 말하나 음력으로 2011년 2월 21일이라고 말하나 같은 오늘이기 때문이다.
띠를 말할 때도 음력인지 양력인지 혹은 24절기력(입춘기준과 동지기준으로 대립)인지에 따라 년말연시 즈음에는 띠가 서로 다르게 된다.
무엇을 기준했느냐를 이해하면 혼란 겪을 일이 없다.
자아字我 적음.